생체 신호를 영상이나 음성이 아닌 호흡 데이터로만 수집하며,
사생활 침해 없이 수면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AI 헬스케어를 아시나요?
세계는 지금,
세계적으로 인구가 고령화 사회로 변함에 따라 고령 인구를 위한 헬스케어 산업이 활기를 띄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 인구뿐만 아니라 병원을 방문할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의료 기반 시설이 취약한 지역에 거주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직접 병원을 찾아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기 어려운 환자들을 위한 원격 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죠.[i] 이와 같은 실용적인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환자 개인의 건강정보에 대한 보호뿐만 아니라 건강정보에 대한 환자의 익명성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데요. 개인의 건강정보는 매우 민감한 정보로서 누구든지 자신의 건강정보가 타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입니다.
사생활 침해 없는 헬스케어
그런데 건강 정보가 개인의 얼굴이나 음성으로 수집되는 것이 아닌 호흡 데이터로만 수집하여 사생활 침해 없이 수면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AI 헬스케어를 아시나요? 오늘은 고령화 사회에 맞춤화된 원격 수면 모니터링 서비스로,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는 ‘웰니스 레이더, 웰룬‘ 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웰룬: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열쇠
35만명을 넘어선 서울 노령 인구..
우리는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웰룬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홀로 사는 노령 인구는 이미 35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ii] 핵가족화 심화에 따라 독거노인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노후빈곤과 고독사가 더욱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이란 우려가 나왔는데요. 이 문제에 대응하여 우리는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웰니스 레이더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웰니스 레이더의 가장 큰 편리함은 거리나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멀리 사는 가족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카메라와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더만으로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때문에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며, 부모님은 사생활을 지킬 수 있어 자신의 개인 공간에서도 편안하게 모니터링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혼자 사는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고독사의 우려 또한 줄일 수 있죠. 웰룬이 보여드리는 건강 정보는 재실 여부, 무호흡증, 이상 징후, 치매 환자와의 호흡 패턴 유사도, 수면의 품질 등이 있으며, ‘웰룬’ 이라는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멀리서도 안부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게 이상 징후가 나타날 시에 응급 알림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스마트폰을 통해 1초 만에 사용자의 건강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독거노인이나 부모님의 질병을 간편히 예방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죠.
멀리 사는 가족들에게 주는 안정감
의사나 간병인에게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여
평소 사용자가 건강한 수면 상태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60GHz의 레이더 기술은 사용자의 흉곽움직임을 정밀하게 감지하여 증상을 분석합니다. 이는 의사나 간병인에게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여 평소 사용자가 건강한 수면 상태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죠. 특히 치매 환자의 경우에는 호흡 패턴과 수면 품질이 중요한 건강 지표가 됩니다. 웰룬은 실제 치매 환자와의 호흡 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유사도 지표를 전해주어 사용자의 가족이나 간병인에게 경고를 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웰니스 레이더 시스템은 치매 환자와 가족들에게 안전함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은 우리 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우리 몸의 매우 중요한 업무입니다. 웰룬은 이러한 수면의 품질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죠. 사용자의 수면 습관을 추적하여 조언과 피드백을 제공하며, 무호흡증과 같은 수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원격 간호를 바라보는 시선
원격 모니터링의 의료 서비스 도입까지는 단순한 일회성 사업에 의한 것이 아닌, 각계의 다각적인 노력과 협조를 통하여 긴밀히 조율되어 이뤄져야 합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전통적인 대면 보건의료서비스 제공방식에 대변화가 촉진되었고,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헬스가 급성장하였습니다. 국외에서는 원격자문, 원격의료외에도 질병치료와 건강증진을 위한 디지털헬스 산업 육성과 의료의 확장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보건의료전문가가 원격교육, 원격모니터링, 원격상담 등 원격헬스에 참여하고 관련 법제도가 마련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코로나 19 위기상황에서 의사와 대상자 간 원격의료를 일시적으로 허용하였고, 이후 원격의료에 대한 긍정적 여론이 형성되면서 원격의료 관련 의료법 개정안이 다시 발의되었으나, 발의된 의료법 개정안은 여전히 의료기관의 의사와 대상자 간 원격진료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원격의료 현장의 실제와 원격헬스로의 발전 가능성을 고려해볼 때, 현행 의료법상에 규정되지 않은 간호사의 기대 역할과 책임에 대한 법제도가 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죠. 즉, 원격 모니터링의 의료 서비스 도입까지는 단순한 일회성 사업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각계의 다각적인 노력과 협조를 통하여 긴밀히 조율되어 이뤄져야 합니다. 원격헬스의 도입이 공식화하기 위해서는 전 과정에서 간호계 등 의료계의 실무적 의견들의 적극적인 수용이 필수적인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이죠.[iii]
웰룬: 예방 중심의 새로운 미래를 열다.
마지막으로, 고령 인구의 증가와 의료 접근성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원격 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고령 인구나 독거노인들은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리며, 가족들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치매 환자를 관리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을 줍니다. 또한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이 더욱 확장되기 위해서는 간호사와 의료법 개정의 필요성이 있으며, 의료계와의 협력과 의견 수용이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웰룬’ 으로 불리는 웰니스 레이더 시스템은 호흡 데이터를 통해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주요한 건강 정보를 실시간 대시보드로 제공하는 원격 모니터링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는데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치매 환자와 같은 특수한 만성 질환 발병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의료기관, 개인, 정부 등 다양한 기관에서 원활히 사용된다면 개인의 만성 질환 예방, 사회적인 건강 비용 감소, 원활한 조직 분위기 등의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i]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원격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키 격리기법을 이용한 개선된 건강정보 전송 보안 프로토콜, (2016),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1608965834533&oCn=JAKO201608965834533&dbt=JAKO&journal=NJOU00292076, 2023
[ii] 연합뉴스, 서울 독거노인 35만명 넘어 … 10명 중 3명 “고독사 우려”, (2022), https://www.yna.co.kr/view/AKR20220506123400004, 2023
[iii]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원격간호 법제화를 위한 고찰 – 프랑스 원격케어 법제를 중심으로 = Review for legislation for telenursing – Focusing on telecare law in France, (2023), https://file1-earticle-net-ssl.libproxy.kyonggi.ac.kr/PDF/Direct?key=flzRGDmuevvkbKo+Ly2NeitfnPmbVOs0Larm116shrcbUeQBNZGFcZvo044vhAUSYvfGWNsn6rGEibFFKqEsDRf0+SnuPhqSBNkDmyovD6i7QSuZB8owmxvjdmINL9igGL7+ewcH2ySkqX1izWZDY/jJtcKqp9ivCcIANMZxe9viz3ECc3K06Czd1uWB2dX/d3w9lrOja2DeKb8FGfibM54VoePB22GRn48S1F096D0=2023, 2023
#웰룬#원격모니터링#고령화사회#독거노인#고독사#이상징후#응급알림서비스#원격건강정보#대시보드#호흡데이터#생체신호감지#원격간호